이엠앤아이

 

이엠앤아이 3개년 자료 일반


항목

2024년

2023년

2022년

분석 의견

매출액

29,699,055,105

24,528,932,896

34,472,979,660

2023년 급감 후 2024년 회복세, 여전히 2022년에는 못 미침

영업이익

339,606,971

(458,094,007)

688,619,290

2023년 적자 전환 후, 2024년 흑자 전환 성공

당기순이익

1,487,148,638

(386,667,305)

(122,437,316)

2024년 흑자 전환, 수익성 개선 뚜렷

순이익률 (%)

5.0%

-1.6%

-0.4%

수익성 극적인 회복세

매출원가율 (%)

84.8%

85.3%

85.6%

매출원가율 점진적 개선

판관비율 (%)

14.1%

16.6%

12.4%

2023년 과다 지출, 2024년 개선됨

재고회전율

30.6회

12.7회

56.4회

재고 효율성 회복 중이나 변동성 큼

재고자산

970,145,362

1,628,722,770

611,500,577

2023년 재고 급증, 2024년 재고 축소

무형자산

3,778,736,575

3,959,714,526

4,254,920,160

점진적 상각 발생 추정

유형자산

2,623,082,410

1,485,672,715

1,237,146,816

공격적 자산 투자 진행

부채비율 (%)

57.9%

58.0%

56.9%

안정적 수준 유지

유동비율 (%)

190.2%

199.3%

207.6%

다소 감소했지만 양호한 수준

당좌비율 (%)

167.0%

156.0%

192.0%

유동성 개선 지속

영업활동 CF

944,564,566

(1,392,898,524)

2,054,794,421

2023년 현금흐름 악화 후 회복

잉여현금흐름

(899,932,264)

(2,561,861,018)

830,343,271

2024년 투자 과다로 FCF 적자 지속

총자산

23,551,729,353

21,673,889,457

19,598,113,800

안정적 성장세 유지

이자보상배율

0.45배

-4.41배

1.71배

2023년 극심한 부담, 2024년 회복 중

DSCR

1.26배

-

-

2024년 기준으로 상환능력 확보됨

현금자산

7,712,485,910

7,190,247,828

5,840,564,201

현금자산 증가로 유동성 강화

자기자본

14,910,818,124

13,714,881,872

12,484,625,728

순이익 개선에 따라 증가

차입금 총계

약 3,807,215,343

약 2,236,639,480

347,415,221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 증가

자본잠식률

없음

없음

있음 (자본잉여금 대비 적자 존재)

2022년 자본잠식, 현재 해소

매출채권 회전율

8.5회

8.1회

10.7회

다소 둔화, 매출 감소 영향

매입채무 회전율

8.6회

7.8회

8.9회

공급망 안정성 확보 중

매출채권

3,856,255,798

3,023,473,224

3,223,729,338

2023년 매출감소에 비례, 2024년 증가

고정자산투자비율

36.2%

28.8%

21.5%

2024년 고정자산 투자 대폭 확대

투자활동 CF

(1,844,496,830)

(1,168,962,494)

(1,224,451,150)

투자 지속, 재무 여력 필요


🧾 분석 종합 및 리스크 평가

📉 부실징후 및 회계적 특이사항 (등급: 중)

  • 2022~2023년 당기순손실 지속 및 자본잠식 위험 존재

  • 2024년 큰 폭의 손익개선으로 부실 리스크는 다소 완화되었으나, 잉여현금흐름 적자 지속은 우려

  • 유형자산 투자 확대 및 무형자산 비중이 여전히 높음

🤝 계열사/지배구조 위험도 (등급: 하)

  • 연결대상 종속기업 없음으로, 내부거래 리스크는 낮음

🧨 지분희석 및 전환사채 리스크 (등급: 중)

  • 2023~2024년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 다수 존재:

    • 제14회차 신주인수권부사채: 1,615,424주 잠재적 보통주

    • 제13회차 전환사채: 1,063,829주 잠재적 보통주

  • 향후 유상증자 및 CB 전환 시 기존 주주 지분 희석 가능성

🛡️ 적대적 M&A 취약성 (등급: 중)

  • 자본잠식은 해소되었으나, 지분 분산 구조에 따라 적대적 M&A 가능성 존재

  • 지속적인 유상증자 이력, 외부 자금유치 비중이 높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ASE 6 Alphabet Inc.'s acquisition of Nest Labs in 2014

Valued at USD 5.7 Billion in 2022 and is projected to reach USD 10.2 Billion by 2030

CASE 4 Johnson & Johnson's acquisition of Synthes in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