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건설

 상지건설 연결기준 일반



🔍 [1] 상지건설 연결기준 3개년 핵심 재무 분석표 (단위: 원)

항목

2024

2023

2022

정성 의견

매출액

20,428,414,745

173,869,290,148

53,794,404,397

2024년 급감, 정상적이지 않은 급격한 축소

영업이익

(21,767,056,471)

32,464,309,346

5,403,269,253

2024년 급격한 적자 전환

당기순이익

(26,742,551,168)

36,762,011,872

(6,604,353,724)

2023년은 일시적 흑자, 다시 적자 전환

순이익률

-131%

21%

-12%

2024년 순이익률 심각한 수준

매출원가비율

116%

69%

68%

2024년 원가율 100% 초과

판관비 비율

91%

13%

22%

2024년 비정상적으로 높음

재고회전율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사업보고서에 미기재

재고자산

68,588,272,914

64,633,284,178

104,580,171,895

재고 비중 매우 높고 감소 불충분

무형자산

6,943,866,648

7,433,260,088

7,993,258,325

안정적이나 규모 큼

유형자산

365,292,175

94,228,104

354,567,730

자산 대비 매우 적음

부채비율

228%

213%

347%

모두 200% 이상, 부채 과중 상태

유동비율

172%

174%

124%

상대적 양호

당좌비율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영업현금흐름

(4,182,082,322)

(9,879,820,419)

(10,247,784,704)

3년 연속 마이너스, 유동성 위기 가능성

잉여현금흐름

추정 필요

추정 필요

추정 필요

현금흐름으로 판단 시 부정적

총자산

200,598,655,166

229,560,566,246

223,943,457,577

감소세 전환, 자산질 저하 우려

이자보상배율

음수

2.64

0.46

2024년 이자조차 못 갚는 수준

DSCR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사업보고서에 미기재

현금자산

8,898,309,016

42,982,787,535

46,618,397,564

3년간 80% 이상 감소

자기자본

87,832,389,195

107,661,699,930

64,919,318,636

감소세 재진입

총차입금

미기재 (추정 가능)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자본잠식률

40.7% 추정

30.6% 추정

57.2% 추정

위험 수준은 낮아졌으나 여전히 경계 필요

매출채권 회전율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매입채권 회전율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매출채권 규모

58,389,473,383

73,730,195,820

7,930,416,804

급증 → 급감 패턴, 회수리스크 존재

고정자산 투자비율

낮음

낮음

낮음

비생산자산 위주

투자활동 현금흐름

(2,646,051,069)

21,065,017,106

(19,890,277,253)

2023년 일회성 수익 발생 가능성


✅ [2] 위험도 합산 점수 기준 평가

  • 부채비율 증가 +3

  • 현금자산 감소 80% 이상 → +7

  • 영업현금흐름 3년 연속 적자 → +6

  • 매출 급감 및 순이익률 적자전환 → +5

  • 유형자산 미미, 재고자산 고위험 구성 → +3
    📌 합산 위험도 점수: 24점 (상위 위험군)


🧨 [3] 부실위험 평가: 상

  • 매출 급감, 영업·순이익 대규모 적자, 현금성자산 고갈, 이자보상 능력 상실 등은 전형적인 부실위험 신호입니다.

  • 단기적인 재무구조 회복이 어려워 보이며, 특히 2024년 실적은 정상적인 기업경영에서 보기 드문 구조입니다.


🎭 [4] 작전 취약도: 중~상

  • 현금흐름 부실 및 자본거래 이력 다수 존재 (무상감자, 유상증자, 전환사채 등) → 시세 조종 가능성 존재

  • 매출액·이익 구조 왜곡 가능성도 있음. 특히 2023년 흑자 기록은 비정상 수익 가능성 분석 필요


⚠️ [5] 기타 위험요소 5가지

  1. 무형자산 과다 보유: 영업과 무관한 자산 비중이 높음

  2. 재고자산 비중 과도: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재고 축적은 손실 리스크 증가

  3. 유형자산 미미: 실물 기반 자산 매우 낮아 담보력 부족

  4. 계열사·관계사 거래 존재: 관계기업 손익 반영 수치 존재 → 내부거래 의심 가능성

자본변동 반복: 감자·증자·전환 등 잦은 구조 변경 → 지분 희석 리스크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ASE 6 Alphabet Inc.'s acquisition of Nest Labs in 2014

Valued at USD 5.7 Billion in 2022 and is projected to reach USD 10.2 Billion by 2030

CASE 4 Johnson & Johnson's acquisition of Synthes in 2012